2025년 금융위 추경 확정|1조 1000억 원으로 취약계층·소상공인 채무부담 완화 총력
금융위원회는 제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총 1조 1000억 원 규모의 민생안정 정책을 확정했습니다. 이는 장기연체자,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부채 문제 해결과 불법사금융 피해자 지원 확대에 초점을 맞춘 강력한 조치로, 정부가 경제 회복을 위해 전방위적 대응에 나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체적인 정책 내용, 대상자 요건, 신청 방법, 기대 효과 등을 정리해 드립니다.
1. 금융위 2025년 추경 주요 목표 요약
장기연체채권 소각 프로그램 | 7년 이상 장기연체채권 소각 | 4,000억 원 |
소상공인·자영업자 채무조정 | 원금 감면·상환기간 연장 | 7,000억 원 |
채무자대리인 선임지원 확대 | 불법사금융 피해자 법률대응 | 3억 5천만 원 |
2. 장기연체채권 소각 프로그램 신설
📌 정책 개요
- 대상: 연체기간 7년 이상, 채무액 5000만 원 이하 장기연체자
- 내용: 정부가 해당 채권을 일괄 매입 후 소각 또는 부분 상환 부담 완화
- 목표: 신용 회복을 어렵게 만들던 만성 연체자의 재기 발판 마련
📌 기대 효과
- 신용불량 상태에서 벗어나 정상 금융생활 가능
- 고금리 사채나 신용카드론 의존도 낮아짐
- 서민 대상 금융 사각지대 해소
- “한 번의 실패가 평생의 족쇄가 되지 않도록, 금융의 문턱을 낮춥니다.”
정부 빚 탕감제도 ‘새출발기금’ 신청 전 알아야 할 5가지(2025년)
2025년 확대된 '새출발기금' 완벽 가이드! 지원 자격, 감면율(80~90%), 신청 방법, 필요 서류, ...
blog.naver.com
매출 3억이하 소상공인 3대 지원사업 총정리 (2025년 7월 신청 안내)
매출 3억이하 소상공인 3대 지원사업 총정리 (2025년 7월 신청 안내)
배달비 30만 원·공과금 50만 원·운영자금 1000만 원! 고금리, 고물가, 소비 위축…2025년 현재, 많은 소상공인들이 운영자금 부족과 공과금 압박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가 총 2조 원 규모
salomon99.tistory.com
2. 소상공인·자영업자 채무조정 프로그램 확대
📌 주요 변경 사항
항목 | 기존 | 2025년 확대 내용 |
대상 기간 | 2020.4 ~ 2024.11 | 2025.6까지 연장 |
총 채무 기준 | 1억 원 이하 | 동일 |
원금 감면율 | 최대 80% | 최대 90% |
상환 기간 | 최대 10년 | 최장 20년 |
📌 주 대상
- 2020년 이후 창업했으나 코로나19 및 경기침체로 채무불이행 상태인 자영업자
- 신용등급 하락으로 금융재기 기회를 놓친 소상공인
📌 정책 취지
- 단기 부실을 넘어 장기 지속 가능한 재기 기회 제공
- 채무 감면 비율 상향과 기간 연장을 통해 부담 경감 + 생존 유도
- “폐업한 소상공인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길, 정부가 함께 열어갑니다.”
7년 이상 연체자 빚 탕감! 이재명 정부 '민생 추경' 전격 발표(+배드뱅크)
경기 침체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대한민국에 희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이재명 정부가 첫 추가경정예산...
blog.naver.com
3. 채무자대리인 선임 지원 예산 확대
📌 핵심 포인트
- 불법사금융 피해자(대부업체, 불법 채권추심 등)에게 법률대리인(변호사 등) 선임 비용을 지원
- 예산 3억 5천만 원 추가 확보 → 지원 지속 가능
📌 지원 대상
- 불법 고금리 대출 피해자
- 채권추심 위협에 노출된 가계
- 신분 취약 계층 (외국인, 장애인, 고령층 등)
- 법적 지식이 없어도, 불법 금융에 당당히 맞설 수 있도록 돕습니다.
불법 대부계약 무효화 처리 기준 알아보기
2025년 7월 22일부터, 정부는 고금리나 협박 등으로 체결된 불법 대부계약을 ‘무효’로 간주하는 새로운 제도를 시행합니다. 이제 불법 대출로 피해를 본 사람도, 더는 혼자 끙끙 앓을 필요 없습
salomon99.tistory.com
4. 정책에 대한 궁금증 정리 (FAQ)
Q1. 장기연체자 대상 기준은?
- 연체 7년 이상이고 채무 금액이 5000만 원 이하여야 함.
- 금융회사가 채권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한 후 소각하거나 부담 경감.
Q2. 소상공인 채무조정 신청은 어디서?
- 신용회복위원회, 소상공인진흥공단,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해 가능.
- 온라인 상담 및 서류 제출 시스템 도입 예정
Q3. 원금 감면은 자동으로 되나요?
- 신청인 소득 및 상환능력 심사를 거쳐 감면율 결정
- 지원 대상자는 적극적 협조 필요
5. 정부의 방향성과 마무리
2025년 제2차 추경은 ‘재기 가능성 있는 국민에게 기회를 주자’는 기조가 반영된 예산입니다. 단순한 생계지원이 아니라, 재기를 위한 제도적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습니다.
- ✅ 신용불량자 → 정상 금융 시스템 복귀
- ✅ 폐업 소상공인 → 부채 감면 + 재도전 기반 마련
- ✅ 불법사금융 피해자 → 법률적 보호 및 구제
정부는 이들 정책의 효과가 ‘체감’될 수 있도록 홍보와 집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6. 정보 요약
예산 총액 | 1조 1,000억 원 |
주요 정책 | 장기연체자 소각, 소상공인 채무조정, 채무자대리인 지원 |
시행 주체 | 금융위원회 |
시행 시기 | 2025년 7월 추경 이후 즉시 |
7. 함께 보며 좋은 글
주빌리은행이 무엇이길래?빚 탕감으로 새 삶을!
1. 주빌리은행이란? 🏦주빌리은행, 또는 **롤링주빌리(Rolling Jubilee)**는 2012년 미국 '월가를 점령하라' 시민 운동에서 출발한 부채 탕감 프로젝트입니다. 시민들의 기부금을 활용해 장기 연체된
salomon99.tistory.com
신용의 기회사다리를 놓아드립니다/경기청년은 꼭 신청하세요
경기청년 기회사다리 금융, 당신의 ‘첫 금융경험’을 위한 지원“사회생활 3년 차, 월급은 오르지 않고 물가는 치솟고…적금 한 번 깨고 나니 신용점수가 푹 떨어졌어요.”경기도에 사는 30세
salomon99.tistory.com